잠실희년교회
희년(禧年·The Jubilee)은 50년만에 잃었던 땅을 되찾고 노예가 풀려나는 은혜의 해입니다(레위기 25장).안식·해방·복권의 희년은 시공을 뛰어넘어 요청되는 하나님의 명령입니다.
● 그리스도인이 세상살림잠실희년교회에 오신걸 환경합니다.
지난여름의 메시지
지난여름의 메시지
: 자연의 역습과 자본의 횡포
살림(22) 1998년 9월 27일 주일오후예배
말씀 : 창세기 6, 1-8 ; 마태복음 21, 12-13
하나. 자연의 역습(1) : 대홍수가 전하는 이야기
1. 우리나라의 경우
50년만의 게릴라성 폭우로 100여명의 사망자와 수만명의 이재민을 냈다. 추석을 앞두고 아직도 완전히 복구되지 못했다.
2. 중국의 경우
더욱 심각했다. 한반도 면적의 2배에 해당하는 4천만ha가 물에 잠겼고, 전체인구의 1/5에 해당하는 약 2억 3천만명이 이재민을 냈으며, 사망자도 3천명에 이르렀다. 물이 완전히 빠지는 것은 대략 10월말에서 11월초가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피해상황은 계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3. 그 결과는?
가장 직접적인 것은 재산과 인명피해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역시 식량문제다. 특히 중국의 경우 식량생산이 30% 정도 감소할 것이 예상된다. 이미 국제곡물시장은 가격인상의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다.
우리나라는 식량중 쌀의 경우만 자급률 98%에 달하고 있을뿐 전체 곡물의 자급률(사료포함)은 30%를 겨우 넘기고 있다. 식량위기론이 실감나는 시대가 온 것이다.
별첨1) “멜더스문제”(국민일보 8월 18일자 칼럼 한마당).
이러한 자연재해는 동아시아에서뿐만 아니라 세계곳곳에서 벌어졌다. 홍수, 가뭄, 혹서, 해일 등의 이상기온 등이 발생했다. 과연 그 이유는 무엇인가?
둘. 자연의 역습(2) : 지구온난화문제를 생각함
1. 인간의 경제개발과 발전추구
급속한 공업화. 특히 공업화는 다량의 에너지를 소모하고 있고 이는 필연적으로 이산화탄소(CO2), 메탄가스, 자동차배출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NOx) 등을 배출하게 된다.
2. 이들 가스는 ‘온실효과가스’
이 가스는 지구를 둘러싼 대기권의 기온을 상승시키는 원인제공자이다. 결국 문제는 지구온난화와 관련된다. 지난 100년동안 지구의 평균기온은 0.5도 상승했다.
3. 예 한가지. 한국의 이산화탄소 배출정도. 별첨2) “지구온난화”(국민일보 9월 16일자 칼럼 한마당).
셋. 자본의 횡포(1) : 세계공황은 오는가?
1. 지난 여름부터 세계경제의 주제어 : ‘세계공황’
․ 97년 여름의 아시아의 경제추락(태국-인도네시아-한국)
․ 98년 6월 러시아 IMF 구제금융수용
․ 8월 17일 러시아의 채무지불유예로 [BJR(?)인가] 세계경제파국
․ 8월 말부터 중남미(멕시코, 브라질, 베네주엘라 등 동요)
․ 이후 브라질 IMF 구제금융수용 시사
2. 별첨3)“‘세계대공황’ 선진국 힘모아야 피할 수 있다”(국민일보 9월 2일자 국제경제 해설기사).
3. IMF도 역시 지원자금이 없다.
․세계경제를 이끌어나갈 재원 및 시스템부족(IMF자체가 위기)
․방안 모색중이나 드러난 것은 아직 아무것도 없다
․이 과정에서 세계의 단기적 투기자본이라 불리우는 헤지펀드(hedge fund)도 퇴출될 위기에 놓임(부랴부랴 미 연방준비은행은 헤지펀드를 지원하는 조치 내림. 9월 25일).
4. 헤지펀드의 위기는 자본자체의 위기다
․그간 세겨자본시장을 자유화시키면서 자유자제로 움직이면서 부를 축적했던 이들 자본도 도산위기라는 것은 현재의 국제금융시스템 자체가 문제라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이다.
․헤지펀드는 현재 세계적으로 4~5천개 정도. 총자본규모는 약 4천억 달러정도. 그러나 헤지펀드는 보통 자기자본의 10배 내지 100배의 투자가 가능하므로 실제로 투자총액은 최대 50조달러 정도에 이른다.
․이러한 대규모자본의 위기 때문에 미국의 연방준비은행이 지원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된 것이다.
5. “자본의 자본을 위한 자본에 의한 세상”을 꿈꾸던 인류는 큰 위기에 봉착하게 되었다. 과연 어디로 갈 것인가. 세계적 차원에서 반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인간의 세상이 아닌 자본의 세상”이 된 오늘 우리들의 모습은 어떤가?
넷. 자본의 횡포(2) : IMF 이후의 우리 주위 이야기
1. 문제를 좀 좁혀보자
․IMF 이후에 가장 많이 듣는 이야기는 국가를 비롯하여 기업, 개인들도 신용불량이니 도산이니 하는 말이다.
․수많은 친목계와 동창회가 깨진 사연
2. 별첨4)“돈이 뭐기에”(국민일보 8월 22일자 칼럼 한마당)
3. 김장로님문제는 어떤가?
․그도 역시 피해자였다
․우리가 위로 받아야 할 것은 과연 무엇인가?
금전회수? 깨진 자존심? 망가진 신앙심?
․자본(돈)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그러나 “우리는 믿음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어려움을 어떻게 이길 것인가?
․우리는 또 좌절하고 자본에게 미움을 받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우리의 교회공동체가 있지 아니한가? 다시 일어날 수 있는 힘도 부여받을 수 있지 아니한가?